전북대 연구팀, 자가증폭 mRNA 통한 범용벡터플랫폼 제작
전북대학교는 수의대 수의학과 이존화 교수 연구팀이 돌파 감염이 만연하는 現 코로나 백신의 단점을 보완할 신개념 경구백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.
화이자·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은 근육 주사제로 비교적 강한 항체 생산을 야기하나 점막 면역을 효과적으로 일으킬 수 없다.
이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경구·비강으로 침입하기 때문이 이를 방어할 강한 소화기나 호흡기 내의 점막면역 유도가 필수적이나, 화이자·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은 이러한 점막 유도가 충분치 못해서이기 때문이다.
이에 이 교수팀은 이러한 백신의 단점 보완을 위해 세포질 내에서 자가증폭 mRNA (self-replicating mRNA)를 통한 고농도 단백질을 발현하는 범용벡터플랫폼을 세계 최초로 제작했다.
경구감염 세균인 살모넬라를 이용 이 mRNA백신을 표적세포까지 전달해 자연스럽게 강한 점막면역을 유도함으로써 코로나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게 된 것이다.
이존화 교수는 “이 경구용 백신개발은 현 코로나 국면에서 커다란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”이라고 밝혔다.
이어 “우선 지금처럼 주사제 근육접종백신은 상당한 수준의 전 국민접종완료에는 최소 수개월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그 사이에 또 다른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할 수 있지만, 본 경구접종 방법은 손쉽게 수일 안에 많은 사람이 개별적으로 경구적 접종을 마치고, 순식간에 집단방어 형성으로 변이바이러스 출현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”라고 이번 연구 성과를 설명했다.
한편, 이번 연구 성과는 최근 'Gut Microbes', 'Biomaterials', 'Journal of Advanced Research', 'Molecular Therapy' 등에 발표됐다.
▲ 이존화 교수팀 (사진= 전북대학교 홈페이지) |
[메디컬투데이=김민준 기자] 세포질 내에서 자가증폭 mRNA를 통한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됐다.
전북대학교는 수의대 수의학과 이존화 교수 연구팀이 돌파 감염이 만연하는 現 코로나 백신의 단점을 보완할 신개념 경구백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.
화이자·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은 근육 주사제로 비교적 강한 항체 생산을 야기하나 점막 면역을 효과적으로 일으킬 수 없다.
이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경구·비강으로 침입하기 때문이 이를 방어할 강한 소화기나 호흡기 내의 점막면역 유도가 필수적이나, 화이자·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은 이러한 점막 유도가 충분치 못해서이기 때문이다.
이에 이 교수팀은 이러한 백신의 단점 보완을 위해 세포질 내에서 자가증폭 mRNA (self-replicating mRNA)를 통한 고농도 단백질을 발현하는 범용벡터플랫폼을 세계 최초로 제작했다.
경구감염 세균인 살모넬라를 이용 이 mRNA백신을 표적세포까지 전달해 자연스럽게 강한 점막면역을 유도함으로써 코로나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게 된 것이다.
이존화 교수는 “이 경구용 백신개발은 현 코로나 국면에서 커다란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”이라고 밝혔다.
이어 “우선 지금처럼 주사제 근육접종백신은 상당한 수준의 전 국민접종완료에는 최소 수개월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그 사이에 또 다른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할 수 있지만, 본 경구접종 방법은 손쉽게 수일 안에 많은 사람이 개별적으로 경구적 접종을 마치고, 순식간에 집단방어 형성으로 변이바이러스 출현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”라고 이번 연구 성과를 설명했다.
한편, 이번 연구 성과는 최근 'Gut Microbes', 'Biomaterials', 'Journal of Advanced Research', 'Molecular Therapy' 등에 발표됐다.
메디컬투데이 김민준 (kmj6339@mdtoday.co.kr)
[ⓒ 메디컬투데이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
